강북삼성병원 유방·갑상선 암센터


주메뉴


자료실

  • 질병정보
  • 복약정보
  • 치료정보
  • 자가검진

진료예약

온라인 상담

진료:02-2001-1790 / 검사:02-2001-1880

강북삼성병원 한마음회


치료정보

Home > 자료실 > 치료정보 - 유방암

  • 유방암
  • 갑상선암
유방암도 병기에 따라 치료법이 다릅니다.
유방암으로 확진되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고 수술뿐 아니라, 항암화학치료, 방사선치료 및 항호르몬치료 등
본인에게 알맞게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방사선 치료

고에너지 방사선을 이용하여 종양을 치료하는 것으로 진단목적으로 사용하는 방사선보다 더 강한 에너지의 방사선을 인체에 조사하게 됩니다.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시키는 치료법으로 남아있는 암세포가 적을 수록 더 효과적입니다. 과거에는 초기에도 유방을 전부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장기적인 삶의 질을 고려하여 유방보존술이 보편화됨에 따라 방사선 치료의 역할도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의 목적
  • 유방보존 수술 후에 남아있는 유방조직에서 암이 재발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 유방전절제수술 후에 종양이 크거나 림프절 전이가 많은 경우에도 암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 수술 후 암이 국소적으로 재발한 경우에 치료를 위해서
  • 전이 병소의 통증이나 기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유방암 방사선 치료 과정

방법

방사선 치료의 방법은 유방암의 특성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그 시기와 방법이 달라 질 수 있는데, 크게 다음 3가지로 분류됩니다.

첫째, 항암제 치료를 먼저 하고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경우
둘째, 항암제 치료와 함께 하는 경우
셋째, 방사선 치료를 먼저 시행하고 항암제 치료를 하는 경우입니다.

방사선은 한꺼번에 많이 조사할 수 없으므로 일일단위로 분할하여 조사하는데 실제 치료하는 시간은 수분 이내로 짧으며 정확한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세를 잡는데 시간이 걸립니다. 통상적으로 방사선치료는 1일1회씩, 1주일에 5회 시행하여 약 6주-7주간 받게 됩니다. 1회 치료받는 시간은 치료부위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약5-15분 정도가 소요되며 통원치료가 기본으로 진행됩니다.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

구토, 식욕부진, 피로와 피부변화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항암제 치료에 비해서는 견디기가 훨씬 수월합니다. 피로는 치료를 시작하고 바로 나타날 수도 있고 사람에 따라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며, 피곤함 등을 느낄 때는 활동을 줄이거나 중단하시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사선 치료 부위의 피부가 화상을 입는 것처럼 붉어지거나 벗겨지고 물집이 생길 수도 있으며 통증을 느낄 수도 있으나 피부를 문지르거나 긁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치료 중에는 느슨한 옷을 입고 브래지어는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치료부위에 물을 접촉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적으로 치료가 끝나면 호전되고, 피부가 두껍고 딱딱한 느낌은 오랫동안 지속되지만 대게 예전의 느낌으로 돌아옵니다.

주의사항
  • 치료를 위해 몸에 그린 선은 치료 기간 중 지워지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 치료 부위가 가려워도 손으로 긁지 않습니다.
  • 피부 보호를 위한 연고는 치료선을 피하여 하루 2-3회 바릅니다.
  • 치료 부위가 햇빛에 직접 쪼이지 않도록 합니다.
  • 치료 부위에 직접적인 냉/온 찜질은 피합니다.
  • 치료 부위에 반창고를 붙이지 않습니다.
  • 가슴과 팔을 조이는 옷은 피하고 면소재의 부드럽고 헐렁한 옷을 입습니다.
  • 치료 중과 치료 후 한달 동안 목욕탕, 사우나, 온천 및 찜질방 출입은 하지 않습니다.
  • 치료 부위가 쇄골상 림프절을 포함하는 경우 방사선 식도염으로 인후통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자극적인 음식은 삼가합니다.
  • 수술한 팔을 무리하게 사용하지 않습니다.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길 78 강북삼성병원 유방갑상선센터   우) 03181

COPYRIGHT(C) KANGBUK SAMSUNG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